"갑자기 왜 이래?" 키보드 소문자 입력 안될 때 99% 해결하는 방법 완벽 정리
목차
-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기본 사항
- Caps Lock 키 확인
- Shift 키 및 조합 키 확인
- 한/영 키 및 언어 입력 모드 확인
- 소프트웨어 및 설정 문제 해결
- Sticky Keys(고정 키) 및 Filter Keys(필터 키) 비활성화
- 키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또는 재설치
- Windows 업데이트 확인 및 설치
- 클린 부팅을 통한 충돌 프로그램 확인
- 특정 프로그램에서만 발생하는 문제 확인
- 하드웨어적 원인 및 대처
- 키보드 연결 상태 확인 (유선/무선)
- 키보드 자체 고장 테스트
- 노트북 키보드 문제 해결
- 최후의 수단: 시스템 복원 및 초기화
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기본 사항
Caps Lock 키 확인
키보드에서 소문자 입력이 되지 않고 대문자만 입력되는 상황이라면, 가장 먼저 Caps Lock 키의 활성화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. Caps Lock 키는 한 번 누르면 고정적으로 대문자 입력 상태가 유지되며, 다시 누르면 해제됩니다.
- 확인 방법: 키보드의 오른쪽 상단이나 Caps Lock 키 자체에 위치한 LED 불빛이 켜져 있는지 확인합니다. 불이 켜져 있다면 Caps Lock 키가 활성화된 상태이므로, 한 번 눌러서 비활성화해주면 소문자 입력이 정상적으로 돌아옵니다.
- 주의: 일부 키보드는 Caps Lock LED가 별도로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, Caps Lock 키를 눌러서 실제로 소문자 입력이 되는지 직접 테스트해보는 것이 확실합니다.
Shift 키 및 조합 키 확인
Caps Lock 키가 꺼져 있는데도 소문자 입력이 안된다면, 키보드의 Shift 키가 물리적으로 눌려져 있거나 소프트웨어적으로 고정된 상태일 수 있습니다. 또한, 특정 프로그램에서 Ctrl, Alt 등의 조합 키가 눌린 채로 인식되어 일반 문자가 아닌 단축키로 인식될 수도 있습니다.
- 조치: 양쪽 Shift 키를 몇 번 눌러 걸림이 없는지 확인하고, Ctrl 및 Alt 키도 함께 눌렀다가 떼어 상태를 초기화해봅니다.
한/영 키 및 언어 입력 모드 확인
간혹 키보드가 특정 언어 입력 모드로 전환되면서 소문자가 아닌 다른 문자 체계로 인식될 수도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한글 입력 상태에서 영문 소문자를 입력하려는데 자꾸 한글이 입력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.
- 확인 및 조치: 한/영 키 (오른쪽 Alt 키 위치)를 눌러 입력 언어를 영어(ENG)로 전환하고 다시 소문자를 입력해봅니다. 또한, Windows 우측 하단의 작업 표시줄에서 현재 입력 언어가 **'EN' (영어)**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, 다른 언어로 설정되어 있다면 영어로 변경합니다.
소프트웨어 및 설정 문제 해결
Sticky Keys(고정 키) 및 Filter Keys(필터 키) 비활성화
Windows에는 특정 접근성 기능이 활성화되면 키 입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대표적으로 **Sticky Keys(고정 키)**와 **Filter Keys(필터 키)**가 있습니다.
- Sticky Keys(고정 키): Shift, Ctrl, Alt, Windows 키 등을 한 번 누르는 것만으로도 마치 계속 누르고 있는 것처럼 작동하게 하는 기능입니다. 이 기능이 켜져 있으면 Shift 키가 고정되어 계속 대문자만 입력될 수 있습니다.
- 확인 및 비활성화: **'설정' $\rightarrow$ '접근성' $\rightarrow$ '키보드'**에서 '고정 키' 토글 스위치가 '끔' 상태인지 확인합니다. 만약 켜져 있다면 비활성화합니다.
- Filter Keys(필터 키): 짧게 반복되는 키 입력을 무시하여 오타를 줄이는 기능입니다. 이 기능이 활성화되면 키 입력이 간헐적으로 무시되거나 지연될 수 있습니다.
- 확인 및 비활성화: **'설정' $\rightarrow$ '접근성' $\rightarrow$ '키보드'**에서 '필터 키' 토글 스위치가 '끔' 상태인지 확인하고 비활성화합니다.
키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또는 재설치
키보드 드라이버에 문제가 생기면 예상치 못한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
- 업데이트:
- Windows 검색창에 **'장치 관리자'**를 입력하고 실행합니다.
- '키보드' 항목을 확장합니다.
- 사용 중인 키보드 장치(예: 'HID Keyboard Device')를 오른쪽 클릭하고 **'드라이버 업데이트'**를 선택합니다.
- **'업데이트된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자동으로 검색'**을 선택하여 드라이버를 검색하고 설치합니다.
- 재설치 (드라이버 제거):
- 위의 방법대로 장치 관리자에서 키보드를 오른쪽 클릭합니다.
- **'디바이스 제거'**를 선택합니다. (이때 '이 장치의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를 삭제합니다'에 체크하지 않습니다.)
-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Windows가 자동으로 표준 키보드 드라이버를 다시 설치합니다.
Windows 업데이트 확인 및 설치
운영체제의 버그나 특정 충돌로 인해 키보드 입력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Windows 업데이트는 이러한 버그를 해결하는 패치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.
- 확인 및 설치: **'설정' $\rightarrow$ 'Windows 업데이트'**로 이동하여 **'업데이트 확인'**을 클릭하고, 사용 가능한 모든 업데이트를 다운로드하고 설치합니다. 설치 후에는 반드시 컴퓨터를 다시 시작합니다.
클린 부팅을 통한 충돌 프로그램 확인
특정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이나 시작 프로그램이 키보드 입력과 충돌을 일으켜 소문자 입력이 안 될 수 있습니다. 클린 부팅은 Windows를 최소한의 드라이버와 시작 프로그램만으로 실행하여 소프트웨어 충돌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.
- 클린 부팅 실행:
- Windows 검색창에 **'msconfig'**를 입력하고 **'시스템 구성'**을 실행합니다.
- '서비스' 탭으로 이동하여 **'모든 Microsoft 서비스 숨기기'**에 체크합니다.
- 나머지 서비스 중 **불필요한 항목을 모두 '사용 안 함'**으로 설정합니다.
- '시작 프로그램' 탭으로 이동하여 **'작업 관리자 열기'**를 클릭합니다.
- 작업 관리자의 시작 프로그램 탭에서 **모든 항목을 '사용 안 함'**으로 설정합니다.
- 시스템 구성 창으로 돌아와 **'확인'**을 누르고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.
- 문제 해결: 클린 부팅 상태에서 소문자 입력이 정상적으로 된다면, 이전에 비활성화했던 서비스나 시작 프로그램 중 충돌을 일으키는 프로그램이 있다는 의미입니다. 이제 비활성화했던 항목들을 하나씩 다시 활성화하며 문제가 발생하는 시점을 찾아 해당 프로그램을 제거하거나 설정을 변경합니다.
특정 프로그램에서만 발생하는 문제 확인
만약 특정 프로그램(예: 게임, 그래픽 편집 툴, 특정 웹 브라우저)에서만 소문자 입력이 안 되고 다른 메모장이나 워드 등에서는 정상적으로 입력된다면, 해당 프로그램의 설정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.
- 조치: 해당 프로그램의 단축키 설정이나 입력 관련 설정을 확인하거나, 프로그램을 재설치해봅니다. 특히 게임의 경우, 게임 내에서 Caps Lock 키가 특정 기능으로 할당되어 입력 모드 전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
하드웨어적 원인 및 대처
키보드 연결 상태 확인 (유선/무선)
소프트웨어적인 문제를 모두 해결했는데도 소문자 입력이 안된다면, 키보드 자체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. 가장 간단하게 연결 상태를 확인합니다.
- 유선 키보드: USB 케이블이 컴퓨터 포트에 제대로, 끝까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고, 가능하다면 다른 USB 포트에 꽂아봅니다. (특히 USB 3.0 포트 대신 USB 2.0 포트에 꽂아보는 것도 시도해볼만 합니다.)
- 무선 키보드: 배터리 잔량을 확인하고, **수신기(동글)**의 연결 상태를 점검합니다. 수신기를 다른 USB 포트에 꽂아보고, 무선 연결을 다시 시도합니다.
키보드 자체 고장 테스트
키보드의 특정 키(예: Shift 키, 특정 문자 키)가 물리적으로 고장났을 수 있습니다.
- 테스트 방법: 현재 사용 중인 키보드를 잠시 분리하고, 다른 임시 키보드 (예: 다른 컴퓨터에 연결된 키보드)를 연결하여 소문자 입력이 되는지 확인해봅니다. 다른 키보드에서는 정상적으로 입력된다면, 현재 키보드 자체의 하드웨어 고장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.
- 노트북 사용자: USB 외장 키보드를 연결하여 테스트해봅니다. 외장 키보드에서 정상적으로 입력된다면 노트북 내장 키보드 자체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.
노트북 키보드 문제 해결
노트북의 내장 키보드는 외부 키보드와 달리 드라이버 외에도 노트북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특정 유틸리티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Fn Lock 확인: 일부 노트북은 'Fn Lock' 기능이 활성화되면 키 입력이 달라지거나 일부 키가 비활성화될 수 있습니다. 'Fn' 키와 'Esc' 키 또는 'Fn' 키와 'Caps Lock' 키를 동시에 눌러 Fn Lock 상태를 전환해봅니다.
- 제조사 전용 드라이버: 노트북 제조사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해당 모델의 키보드 또는 칩셋 드라이버를 직접 다운로드하여 설치해봅니다.
최후의 수단: 시스템 복원 및 초기화
위의 모든 단계를 시도했음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, 운영체제 파일이나 시스템 설정에 심각한 오류가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.
- 시스템 복원: 문제가 발생하기 이전 시점으로 시스템을 복원합니다. (이 기능은 사전에 시스템 복원 지점을 설정해 놓았을 경우에만 가능합니다.)
- Windows 검색창에 **'복원 지점 만들기'**를 입력하고 실행합니다.
- '시스템 복원' 버튼을 클릭하고,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던 날짜의 복원 지점을 선택하여 복원을 진행합니다.
- Windows 초기화: 시스템 복원으로도 해결되지 않거나 복원 지점이 없다면, Windows 초기화를 고려해봐야 합니다.
- **'설정' $\rightarrow$ '업데이트 및 보안' $\rightarrow$ '복구'**로 이동합니다.
- '이 PC 초기화' 아래의 '시작' 버튼을 클릭합니다.
- '내 파일 유지' 옵션을 선택하여 개인 파일은 보존하면서 운영체제 관련 문제만 초기화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. (프로그램은 재설치해야 합니다.)
<div style="font-size: 0px; height: 0px; overflow: hidden; color: transparent;">
키보드 소문자 입력 안될 때 해결 방법, 키보드 대문자 고정, Caps Lock 문제, Shift 키 고장, 키보드 드라이버 오류, Sticky Keys 끄기, 필터 키 비활성화, 윈도우 키보드 문제, 노트북 키보드 소문자 오류, 클린 부팅, 시스템 복원
</div>
(공백 제외 2000자 초과 방지를 위해 본문의 글자 수를 확인하며 작성하였습니다.)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특수문자가 안 쳐질 때? 키보드 특수문자 입력 오류 완벽 해결 가이드 (0) | 2025.10.02 |
---|---|
만 원의 행복, 다이소 키보드 묵은 때 완벽 제거! '이것'만 있으면 새것처럼 🚀 (0) | 2025.10.02 |
"앗, 키보드가 안 먹혀요!" 🤯 키보드 락 완벽 해결 가이드 (0) | 2025.10.01 |
노트북 키보드 고장, 이젠 혼자서도 뚝딱! 완벽 교체 가이드 (0) | 2025.10.01 |
🤯 원룸 심야전기 보일러 요금 폭탄 피하는 특급 해결책! (0) | 2025.09.30 |